2010년 2월 18일 목요일

Celine Dion - Ziggy 노래로 배우는 프랑스어



셀린디온의 Ziggy라는 곡을 읽는 법을 연습하는 내용을 올렸습니다.
노래를 좋아하시는 분은 한 번 읽는 법을 연습해보시고 흥얼거리는 기쁨을 누려보세요~
>> 영어 해석이 나와 있는 가사 링크


1. 첫번째 부분



Ziggy, il s'appelle Ziggy
Je suis folle de lui
C'est un garçon pas comme les autres
Mais moi je l'aime, c'est pas d'ma faute
Même si je sais
Qu'il ne m'aimera jamais

Ziggy, il s'appelle Ziggy
Je suis folle de lui
La première fois que je l'ai vu

Je m'suis jetée sur lui dans la rue  
=> 쥬므쉬쥐떼쉬흐- 뤼당-  라휘- 이..

J'lui ai seulement dit
=> 쥐에썰- 멍- 디

Que j'avais envie de lui


2. 두번째 부분


Il était quatre heures du matin
=> 일-레떼- 꺄트외-뒤-마-땡

J'étais seule et j'avais besoin
=> 쥬떼썰에자-베베수왕-

De parler à quelqu'un

Il m'a dit: viens prendre un café
=> 일 마디 비앙 프헝드흥 까페

Et on s'est raconté nos vies
=> 옹쎄하- 꽁 - 떼노비

On a ri, on a pleuré
=> 온아히-  온아쁠러헤


3. 세번째 부분


Ziggy, il s'appelle Ziggy
C'est mon seul ami

Dans sa tête y'a que d'la musique
=> 당사떼띠야-끄들라뮈지끄

Il vend des disques dans une boutique
=> 일방드디-스끄당-쥔-부띠-끄

On dirait qu'il vit dans une autre galaxie
=>  옹디헤-낄-비- 덩쥔오트흐-걀-락-씨

Tous les soirs, il m'emmène danser
=> 뚤-레수와, 일- 머멩당쎄

Dans des endroits très très gais
=> 당데정-드r와-트헤 트헤 개-

Où il a des tas d'amis
=> 우일라 데, 따다미-

Oui, je sais, il aime les garçons
=> 위 쥬 쎄, 일래-믈래갸흐-송

Je devrais me faire une raison
=> 쥬드브해므패-윈헤종-

Essayer de l'oublier, , , mais
=> 에쎄예 드 루블리예... 메..



Ziggy, il s'appelle Ziggy
Je suis folle de lui
C'est un garçon pas comme les autres
Et moi je l'aime, c'est pas d'ma faute
Même si je sais

Qu'il ne m'aimera jamais.
=> 뀔느메-머-하- 좌-메

▶ 방송파일 다운로드

대학생들이 트위터를 많이 쓰지 않는 이유

이 글을 쓰는 계기가 된 글



온라인과 친하지 않은 유형 Vs 온라인과 친한 유형

생각을 풀어놓기 전에 우선 사람들을  간단하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보겠다. 온라인과 친한 유형과 온라인과 친하지 않은 유형. 내 마음대로 나눈 유형인데, 온라인과 친하지 않은 유형이라고 하면, 일 목적, 필요한 정보 검색 목적, 영화다운, 게임, 노래듣는 목적, 기존 친구와의 메신저, 기존 친구와의 홈피방문 이외의 목적으로는 온라인을 잘 사용하지 않는 유형을 의미한다. 반면에 온라인과 친한 유형이라고 하면 자기 블로그를 운영한다거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한다거나, 뭐랄까, 온라인 상에서 주도적으로 뭔가를 하거나 하고 싶어하는 유형을 의미한다.

온라인과 친하지 않은 대학생이 인터넷을 쓰는 목적

대학시절을 돌이켜 보면 대학생들이 컴퓨터, 인터넷을 쓰는 목적은 대략 이런 것 같다. 레포트쓸 때 자료검색용, 뭔가 정보 찾아볼때, 오프라인 모임의 온라인 카페나 커뮤니티 활동, 그리고 채팅. 졸업할 때쯤 되면 취업 정보 찾아보거나 실제 지원을 할 때. 대략 공부, 연애, 취업 정도가 아닐까 한다. 물론 온라인과 친한 유형은 좀 더 많은 목적으로 인터넷을 쓰겠지만 온라인과 친한 유형 자체가 많지는 않은 것 같았다. 이중에서 '새로운 만남'과 관련된 목적에 해당하는 것은 '연애'다. 채팅이 유행할 때가 있었는데, 물론 관심사 위주로 채팅방이 열리고 하기도 했지만, 벙개를 목적으로 하는 채팅이 많았던 것 같다. 채팅으로 친구를 만나는 경우는 많지 않았던 것 같다. 친구는 대학에서 실제로 얼굴 보고 사귀니까. 동아리에 들어서 마음맞는 친구들을 만나서 실제로 같이 놀러 다니는데 굳이 채팅으로 새로 사귈 필요가 없었던 걸까. 하지만 연애 대상은 조금 다르다. 주위에서 마음에 드는 사람이 없을 수도 있고. 채팅은 내가 접할 수 있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곳이 아니었을까 한다. 즉, 온라인과 친하지 않은 유형의 대학생이 새로운 누군가와의 만남, 관계를 생각하며 인터넷을 쓸때 그가 생각하는 그 상대는 오프라인에서 만날 연애상대가 아니었나 한다.

온라인과 친하지 않은 직장인이 인터넷을 쓰는 목적

이 대학생들이 졸업하고 직장에 들어가면 다른 종류의 온라인 매체를 쓰게 된다. 예를 들면 사내 메신저, 미스리 등등. 온라인과 친하건 안 친하건 메신저를 많이 쓴다. 그런데 대학생때와는 목적이 조금 다른 듯 하다. 메신저로 대화하는 이유가 이제는 연애상대찾기가 아니라 정보공유, 인맥 쌓기 등인 것 같다. 회사 생활을 떠올려볼때, 미스리는 사내 소식 알기에 참 편리했다. 상사 몰래 이런저런 팀분위기 파악에 필요한 내용들도 안전(?)하고 빠르게 알 수 있었고 - 그러다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 다른 팀 내용도, 경쟁사의 내용도 수월하게 알 수 있었던 것 같다. 물론 이런 메신저로 정확하게 내가 원하는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건 아니었지만, 다른 경로를 통하는 것보다는 훨씬 효율적이지 않았나 싶다. 예를 들어 타팀이나 경쟁사 직원을 직접 찾아가서 뭣 좀 알려달라는 상황을 상상해보면 뜨억하다. 그런데 미스리는 간편하다. 아이디만 알면 쪽지 뿌려놓고 답이 오면 좋고 안 오면 그만이다. 마찬가지로 누군가 질문을 단체로 돌리면 거기에 내가 알면 대답하고 모르면 모른다고 한다. 부담이 없다. 그리고 타팀에 별로 안 친한 사람도 미스리로 미리 얘기를 주고 받으면 관계가 빨리 가까워지는 것 같다. 물론 이런 과정에서 일부 연애관계가 생길 수도 있겠지만, 미스리를 쓰는 이유의 큰 부분은 사내, 업계 정보공유, 인맥쌓기가 아닌가 한다.

그럼 트위터는?

그럼 트위터는 뭘까? 트위터를 쓰는 목적은 뭘까? 사람들은 왜 트위터를 쓰고 싶어하는 걸까? 아직 트위터를 아주 많은 사람들이 쓰는 것은 아니지만, 트위터를 많이 쓰고 좋아하는 사람들은 어떤 특징이 있는 것 같다. 나는 주로 눈팅을 하는데 트위터가 정말 좋다. 그런데 왜 좋은지는 금방 생각이 나지 않았다.

트위터 :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위한 통로
트위터도 채팅이나 메신저나 온라인 카페처럼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위한 통로가 아닌가 한다. 사람들과의 좋은 대화는 좋은 관계로 이어지고 그 관계는 그 상대를 좋은 무언가로 만든다. 채팅에서 나눈 좋은 대화는 좋은 만남으로 이어지고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좋은 만남은 그 상대를 좋은 연인으로 만든다. 미스리에서 나눈 좋은 대화는 그 상대를 좋은 정보 제공자, 일 관련 상담자로 만든다. 그럼 트위터에서의 좋은 대화는 상대를 좋은 무엇으로 만들어줄까?

트위터에서 만나고 싶은 사람은?

연애 상대라면 뭔가 기준이 있을 것이다. 외모, 성격 등등. 정보제공자도 그럴 것이다. 타팀 사람이면서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라든지, 경쟁사 사람이면서 깐깐하지 않은 사람이라든지. 그런데 트위터에서 만나고 싶은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트위터에서 쌓고 싶은 관계는 어떤 관계일까? 나는 이 부분이 흥미롭다. 물론 연애 상대에 대해서도 뚜렷한 기준을 스스로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뚜렷하게 알기도 어려운 부분이다. 하지만 중요한 건 뭔가는 좋고, 뭔가는 싫다는 것은 막연히 느낀다는 거다. 트위터도 그렇지 않나 싶다. 새로이 알게 되고 싶은 사람, 새로이 알고 싶지 않은 사람, 그 명확한 기준을 설명할 수는 없어도 뭔가 느끼는 게 있다.

인생의 동료

트위터에서 찾고 싶은 사람에게 이름을 붙여 보았다. 인생의 동료라고. 조금 촌스럽지만 지금 생각할 수 있는 것 중에는 제일 나은 표현이다. 결혼하는 사람은 인생의 동반자이고, 같은 업계에서 고락을 같이 하고 싶은 동료라면 그 업의 동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가족과 업계에 관계없이, 인생의 중요한 것을 나눌 수 있는 이는 인생의 동료가 아닐까, 그런 이를 사람들은 트위터에서 찾고 싶은게 아닐까?

혹시 여기에서라면...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싶다는 게 기존의 관계에 대해 전혀 불만족한다는 의미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관계에서 다 채워지지 않은 그 무언가가 있기 때문에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싶은 게 아닐까? 기존의 통로로 만날 수 있는 사람에게서 발견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고 싶어서 새로운 매체가 뜨면, 혹시 여기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시도해 보는 게 아닐까? 또는 기존의 관계가 인생의 동료라고 할 수 있다면, 그 관계가 정말 좋아서라도 그런 관계를 새로운 사람과 더 만들고 싶다는 건  당연한 것 아닐까?

들릴 듯 말 듯한 나의 목소리를 새로운 이들에게

나의 과거를, 나의 일상을 돌아보면, 특별히 노력하는 순간을 제외하고는 똑같은 말을 수없이 반복하고 있는 나를 본다. 주위 사람들이 나에게 던지는 질문도 똑같으며 그에 대한 나의 대답도 똑같다. 물론 사람이란 몸도 마음도 자극에 반응하면서 살아가는 것이라고,그 자극과 반응은 많이 반복되는 거라고 생각해보지만, 마음 한 구석에는, 뭔가 내 안에서 자발적으로 나오는 것도 있지 않을까 한다. 아무도 나에게 말하라고 시키지 않아도, 뭐라고 말할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아도 내 안에서 하고 싶은 말이 있지 않을까 한다. 그런 목소리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서 나를 둘러싼 모든 것들을 걷어내어 본다. 모든 것들을 걷어내어 보면 거기에 들릴 듯 말 듯한 목소리가 있다. 그 목소리를 누구에게 얘기할까? 물론 내 가족 중 일부에게도 내 친구들 중 일부에게도 얘기할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친구들에게도 얘기하고 싶다. 그런 얘기들을 나는 블로그에 쓴다. 그리고 새로운 친구들의 그런 목소리도 듣고 싶다. 그래서 나는 다른 블로그들을 뒤적뒤적 거리면서 그런 목소리를 들으려고 한다. 그래서 나는 트위터에서 열심히 다른 이들의 트윗을 구경하고, 이들의 블로그 글을 읽고, 링크하는 글들을 읽어본다. 나를 팔로우하지 않는다해도 상관없다. 나는 그의 목소리를 듣고 싶은 것이지, 내 목소리를 들으라고 강요할 생각은 없기 때문이다. 상대는 내 목소리를 듣고 싶을 때, 그리고 들을 수 있을 때, 그 때 들으면 된다. 그 때 내가 블럭만 하지 않으면 된다. 내가 블러할 이유가 어디있나, 나도 그 목소리를 듣고 싶은데..

2010년 2월 11일 목요일

'개발자를 위한 영어' 홈페이지 소개

개발자를 위한 영어 홈페이지 안내를 다시합니다.
제가 사이트에서 이것저것 바꿨더니 블로그에 링크된 내용들 링크가 다 엉망이네요 ^^
링크가 깨진 포스트들은 비공개로 해두었습니다.




과제맵

과제맵은 약간 간단하게 바꾸어 보았고요.


개인전용 노트

공부하신 내용과 피드백을 개인별로 모아드리는 개인전용 노트를 만들었습니다.

개인전용 노트에 공부하고 싶으신 분은 저에게 지메일 계정을 알려주시고요~
(트위터, 이메일 등)

또 뭔가 바뀌면 다시 알려드릴게요~

2010년 2월 10일 수요일

이누엔도 3. heterosis, Wallflower블로그


트위터에서 팔로우 하는 분 중에 @heterosis라는 분이 있다. 이 분이 올리는 트윗 또는 링크 중에는 내게는 어려운 내용도 있고, 흥미로운 내용도 있다. 오늘 올라온 트윗 중 이런 글이 있었다.

멋진데? 아니면 어쩔거야? 응? http://wallflower.egloos.com/ 현대철학자들 치고 라캉의 영향을 받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는가?

이 글을 보고 나는 링크된 글(몇 가지 생각들, 단상)을 읽었다. 블로그를 읽다보니 이택광이라는 이름 석자가 드러났고 트윗에서 누군가 그에 대해 얘기한 것을 들은 기억이 있다. 비판적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나도 같이 비판적이 될 지는 내가 직접 글을 읽고 판단할 일이었다. 그래서 블로그에 가서 글을 읽었다.

나는 블로그 글을 읽으면서 상상한다. 이 글을 쓴 이는 어떤 사람일까? 무엇을 꿈꾸는 사람일까? 무엇에 화내는 사람일까? 무엇을 하고 싶어하는 사람일까? 그런게 드러나지 않은 블로그는 안 읽는다. 읽지 못하겠다.

블로그 글을 읽다보니 이택광이라는 분은 직업이 교수이다. 나는 글에서 이분의 인격, 바라는 것, 분노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정리되지는 않았지만 그것들이 글에 드러나있다고 느꼈다. 그래서 이 블로그의 다른 글들도 읽어보려고 한다.

처음으로 돌아가서 heterosis님은 이 글을 비판하는 트윗을 올렸는데 결국은 그 트윗 '덕분(?)'에 난 이 블로그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로서는 내용은 아직 잘 모르겠지만 '자신을 드러내는 블로그'라는 호감도를 가지게 된 상태이다.

여기에서 어제 새로 알게 된 '이누엔도'라는 개념이 떠오른다. 이누엔도의 개념을 소개하는 Gatorlog 블로그의 흥미로운 글 중에는 이런 실험결과가 나온다.

Wegner박사팀은 실험을 통해 가공의 정치인 Bob Talbert에 대한 두 종류의 이누엔도를 만들었다. 신문 헤드라인에 나온 제목이라면서 실험 참여자들에게 "IS BOB TALBERT LINKED WITH MAFIA?"와 "BOB TALBERT NOT LINKED WITH MAFIA"라는 두 종류의 이누엔도를 보여주고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단언적 문장 "BOB TALBERT LINKED WITH MAFIA"와 비교했다. 실험 참석자들의 BOB TALBERT에 대한 인상을 물었을 때, 당연히 직접 공격하는 문장을 본 실험 참여자들은 BOB TALBERT에 대해 부정적인 점수를 주었다. 그런데 두 종류의 이누엔도 문장을 본 참여자들 역시 이 가공의 정치인에 대해 거의 똑같이 부정적인 점수를 주었다. 아하!! 이를 통해 Wegner박사팀은 이누엔도를 통해서 사람을 간접적으로 공격하는 것은 직접적인 공격만큼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영어가 섞여서 불편하신 분을 위해 조금 간추려보면,

한 박사는 가공의 정치인 탈버트를 만들고, 세 가지 문장을 만들었다.
1번 - "탈버트는 마피아와 연관이 있다."               <- 직접 공격하는 문장
2번 - "탈버트는 마피아와 연관이 있는가?"     <- 이누엔도 - 질문형식 활용
3번 - "탈버트는 마피아와 연관이 없다."       <- 이누엔도 - 부정문 활용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이 세 문장이 신문 헤드라인에 나왔다며 알려주고 정치인 탈버트에 대한 인상을 물었다. 직접 공격하는 문장을 보고 탈버트에 대해 부정적인 점수를 주는 것은 자명하지만 이누엔도 문장의 효과는 어땠을까?

결과는.. 두둥..   이누엔도 두개를 본 사람들 모두 탈버트에 대해 부정적인 점수를 주었다. 즉, 탈버트는 마피아와 연관이 없다는 문장, 있는가라고 묻는 문장에 대해서도 사람들은 탈버트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받았다.


즉, "탈버트는 마피아와 관련없어!", "탈버트는 마피아와 관련이 있을까?"라는 문장을 본 사람들도 마치 이 정치인이 마피아와 뭔가 연관이 있나보다, 아니땐 굴뚝에 연기나랴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나 보다.

실험결과를 보면 문장에서 대놓고 주장하는 내용과는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게, 그 문장을 읽는 이의 머릿속에는 새로운 해석이 들어설 수 있는 듯 하다.

참고로 문장을 보고 사람들이 어떻게 기억하는지 그 과정에 대해서 Gatorlog 블로그의 글에서 "구문 기억 실험"이라는 흥미로운 실험으로 소개한다. 논리적 함축과 실용적 함축, 실용적 함축 부분이 흥미롭다.

물론 heterosis님은 이누엔도 수법을 쓴 경우가 아니다. 오히려 정반대의 경우이다. 이 경우가 낳은 결과가 흥미로워서 생각이 났다. heterosis님은 그 글의 일부분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반박하는 내용을 트윗으로 올렸다. 하지만 그 트윗을 본 내 머릿 속에서는 이런 '실용적 함축'과정이 일어났나보다.

"heterosis님이 시간을 내어 끝까지 읽을 정도의 가치가 있는 글인가보다"

물론 반박의 대상이 된다고 해서 그 대상이 가치로워지는지는 모를일이지만 그 대상이 가치로운지 아닌지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스스로 판단할 일이다.

2010년 2월 9일 화요일

이누엔도 1. 민노씨.네 블로그 글을 이해하기 위한 글

'이누엔도'라는 개념에 대해서 오늘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http://www.minoci.net/1073

 

요전에 민노씨.네 블로그에서 댓글로 범죄자의 거짓을 숨기기 위한 진실이 뭔지 질문을 드렸더니, 민노씨가 설명하는 글을 써주셨어요. 감사드립니다.

우선 민노씨.네에 올라온 글을 읽었는데요, 좀 어려워서 정리하면서 읽었습니다. 영어 공부할 때 쓰는 쪼개기 수법을 한글로도 쓰게될 줄은 몰랐습니다 :) 대부분이 읽은 글 내용이기 때문에 제 생각을 쓴 부분은 파란색으로 표시하겠습니다.

 

우선 트윗부터 이해하기..

 

@gatorlog님의 이누엔도 연재글과 @nassol99님의 질문에 대한 단상. 혹은 그 질문에 포함된 대답에 대한 대답으로서의 질문.

 

  1. 질문에 대한 단상 -> 제 질문이지요? 범죄자의 거짓과 진실이 무엇을 가르키느냐는..
  2. 그 질문에 포함된 대답 -> 제 질문에 대답이 포함되어 있었어요? 아니면 그 아래 달린 대답..
  3. 이 대답에 대한 대답  -> 놓쳤습니다..
  4. 대답으로서의 질문 -> 놓쳤어요 ㅎㅎ 어떤 질문인가요? 마지막에, 수단화된 진실은 어디까지가 수단이고 목적인가,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가, 그 부분인가요?

    => 정말 많은 말을 짧은 표현에 담으시는군요 :) 제 이해력을 탓하세요.

 

이누엔도의 뜻

 

Innuendo : 속임, 기만이라는 뜻,

=> 한국 구글에 '이누엔도'라고 검색하니, 게이터로그, 민노씨.네 블로그가 뜨고 그 외에는 '이누엔도'에 대해서 나오지 않네요. 그래서 영어로 검색했더니...

위키피디아에서는 어떤 사전의 정의에 따르면 "an indirect remark about somebody or something, usually suggesting something bad, mean or rude...(사람이나 그 무언가에 대한 직접적이지 않은 표현, 보통 나쁘거나 잔인하거나 무례다고 의미할 때 쓰임..)" 라고 나오네요. 흠 한 마디 한국말로 표현하시 어렵다는 게 이해가 됩니다.

 

이누엔도는 여러가지 점에서 문제가 있다.

 

ㄱ. 수용자를 선동과 조작의 대상으로 전락시킨다.

ㄴ. 발화자가 의도한 편견을 확대하기 위한 기만적인 언술장치로 쓰인다.

ㄷ. 주로 인신공격을 위해 사용된다.

 

=> 이누엔도는 나쁜 행위 같군요..나쁜 행위는 나쁘다고 인지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거짓을 숨기기 위한 진실

 

황지우... 범죄자는 거짓을 숨기기 위해 진실을 말한다. 이 진실이 중요하다.. 진실이 갖는 상대성을 이야기하는 것 같은 이 문장은 이중적이다.

 

이중적

ㄱ. 진실은 그 자체로 거짓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ㄴ. 거짓을 위해 동원되고, 수단화된 진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1) 그저 폐기해야 할까?

     2) 그 거짓을 깨뜨리기 위한 도구로 그 진실을 다시 재도구화할 것인가?

 

수단화된 진실은 어디까지가 수단이고, 어디까지가 목적인가? 그 양자는 어떻게 구별한가?

 

=> 제 생각에는 수단이냐, 목적이냐는 그 진실을 마주하는 상대방과의 관계에서 결정된다고 생각합니다. 진실이 혼자일 때에는 수단도 목적도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 진실을 다른 목적을 위해 이용하는 사람이 있을 때 그 사람에게는 수단이 된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그 수단화된 진실이, 진실을 듣는 상대와 어떤 관계를 가지느냐에 따라서 그 진실이 수단 또는 목적으로 드러난다고 생각해요. 특히 그 진실을 듣는 상대가 어떤 노력을 하느냐에 따라서도 그 진실이 수단으로 전락한 상태로 남느냐, 아니면 수단화된 상태를 벗기는 상태로 바뀌느냐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쓴 답글 중에 조금 보완하고 싶은 부분이 있어요. 제가 남긴 댓글 중 아래와 같은 부분이 있는데요.

 

비판하는 분이, 반드시 '대안을 제시하세요, 행동으로 보여주세요'라고 독자가 강요할 수는 없는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소망을 보여주지 않을 때 독자가 느끼는 무력감에 대해서 인지하고 계셨으면 좋겠어요.

 

=> 제가 썼지만 이 부분이 너무 퉁쳐져 있네요 ^^;  제 생각하는 비판은 소망을 가진 사람이 소망하는 상태와 현재 상태의 괴리를 얘기하는 것이고요, 그 괴리를 얘기하고 생각하는 단계에서 반드시 대안이나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생각하고 고민하는 시간이 필요하니까요. 단지 소망이 감지되었으면 하고 바라는건, 그 비판이 나온 배경에는 비판자가 바라는 그 무언가가 있다라는 걸 느끼고 싶다는 거에요. 비판은 소망하는 상태를 실현해가는 긴 과정의 초기상태라고 생각해요. 초기상태에서 후기상태를 기대할 수는 없는거니까요. 그 비판자가 괴리에 대해 계속 얘기하고 고민한다면 그것이 나중에는 대안을 얘기하고 행동으로 보여주는 방향으로 간다고 생각해요.

 

이누엔도가 기만과 조작을 위한 권력적 언술의 기술적인 방법론을 이야기한다면, '거짓을 숨기기 위한 진실'의 문제는 권력적 언술의 자기 해체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 여기에서 권력적 언술의 자기해체 가능성이라고 하면, 자기해체는 (악용된) 진실이 거짓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하는 건가요? 아~ 복잡합니다~

 

기만을 위해 종사하는 진실은 어떻게 스스로의 회로 속에 들어가 그 진실로 위장된 기만의 성채를 깨뜨릴 수 있는 것일까?

 

=> 이 성채를 깨뜨릴 수 있는 주체는 수용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범죄자, 범죄행위를 했다는 사실, 범죄 행위를 하지 않았다는 진술, 그리고 듣는자, 이렇게 범죄자, 행위 사실, 진술, 듣는자가 있다고 할 때, 범죄자는 진술을 수단화시키지만 듣는자가 범죄자의 진술을 어떻게 받아들일 지는 다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범죄자가 하는 진술 자체가 행위 사실을 드러낼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듣는자가 신호를 해석하는 능력을 더 많이 갖출수록 듣는자는 수단화된 범죄자의 진술을 그대로 믿지 않고 행위 사실을 알아낼 수 있겠지요.

 

서로에게 투사하다

 

우리는 그저 각자의 소망을, 대화를 서로에게 투사해볼 뿐이다.

 

=> 투사란 말을 들어보기는 했지만 무슨 의미인지는 잘 몰라서 좀 찾아보았습니다. 한글로 검색하니 투사부일체가 쭉 뜨네요. ^^;  영어로 아마 psychological projection이 제가 알려는 그 '투사'일 것 같네요..

 

http://en.wikipedia.org/wiki/Psychological_projection

Psychological projection is the unconscious act of denial of a person's own attributes, thoughts, and emotions, which are then ascribed to the outside world, such as to the weather, the government, a tool, or to other people. Thus, it involves imagining or projecting that others have the same feelings or motives, rather than what they really think. (심리적인 투사란 한 사람의 고유한 특징, 생각, 감정을 무의식적으로 부정하는 것. 이렇게 부정하는 것은 그 원인을 외부에 돌리는 것, 이를테면 날씨나 정부, 도구나 다른 사람이라든지. 이는 다른 사람이 실제로 생각이 아니라, 나와 같은 감정, 동기를 가지고 있다는 상상하는 결과를 낳는다.)

 

=> ^^: 흠, 잘 이해가 안되서 한글로 다시 찾아봤어요.

 

http://100.naver.com/100.nhn?docid=156147

 4. 다른 사람들도 나의 태도나 감정 등과 똑같은 것을 가졌다고 단정하려 드는 경향. 아이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또 자기 자신이 납득하기 어려운 사고(思考), 감정이나 만족할 수 없는 욕구를 갖고 있는 경우에 그것을 타인에게 돌려 버리는 것과 같은 무의식적인 마음의 움직임이다. 이것은 방위기제(防衛機制)의 한 가지로 동일시(同一視)의 한 형(型)이다.

 

=> 역시나 개념이 잘 이해가 안되네요. "납득하기 어려운 사고 등을 갖고 있는 경우에 그것을 타인에게 돌려버리는 것과 같은 무의식적인 마음의 움직임" 부분이요. 다른 설명글을 읽어 봐야겠습니다. 서로에게 각자의 소망을, 대화를 투사해볼 뿐이라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요.


이누엔도 2. Gatorlog의 글을 읽으면서

이누엔도 1에 이어서..

이누엔도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글에서 민노씨.네 블로그에서 안내된 Gatorlog블로그의 글 두 개를 읽어 보았다. 역시나 조금 어려워서 정리하면서 읽었다. 대부분은 원래 글에서 약간 간단하게 옮겨쓴 글이고, 내 생각을 쓴 부분만 파란색으로 표시했다.

 

이누엔도(Innuendo) 1. (@gatorlog)http://bit.ly/d2WofU 
발화자의 부정적 편견을 우회적으로 은연중 독자/청자에게 내면화시키는 지적(수사적) 조작.
"선장은 오늘 하루 술에 취해 있지 않았다"

이누엔도(Innuendo) 2. (@gatorlog)http://bit.ly/cR19Wv 
1. "의미의 단언적 전달을 제한하는 척하면서 애초 의도한 의미를 그대로 전달"
2. "사람을 간접적으로 공격하는 것은 직접적인 공격만큼 효과가 있다"

 

  1. 왜 Marmot의 블로그를 읽는 것이 조선 일보를 읽는 것보다 정신 건강에 해로울까?
    ->  이는 둘다 해롭다는 두가지 가치 기준을 암묵적으로 전달하는 효과를 낳는다.

  2. 이누엔도(innuendo) : 우리가 판단해야 할 대상에 대해 직접적인 공격보다는 구렁이 담 넘는 식으로 둘러쳐서 뒷통수 때리는 수사적 기법

  3. 이누엔도가 쓰이는 경우 - 언론보도, 정치인들의 이전투구, 보통 사람들
    => 이전투구가 무슨 뜻일까?
    이전투구 : 자기 이익을 위해서 볼썽사납게 싸우는 것을 비유

    http://100.naver.com/100.nhn?docid=799122

  4. 보통사람이 쓴 이누엔도의 예:
    "선장은 오늘 하루는 술에 취해 있지 않았다."
     -> 오늘 말고 다른 날은 계속 취해 있다는 숨겨진 비방을 암묵적으로 나타냄

  5. 이누엔도를 쓰는 주된 이유 : 사실 관계를 확인시키기 어려운 인신 공격에 주로 쓰인다.

  6. 이누엔도의 특징 : 하나의 "진술문"을 평가어나 평가구문 속에 숨겨 전달한다.
    => 인물과 사상 2010년 2월호에서 읽은 부분이 생각난다. "우리는 공산권밑에 있었기 때문에 정부가 무슨 얘기를 하건 선전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우리는 행간의 의미를 읽는 법을 배웠다." 어떤 말을 듣거나 글을 읽는 사람들이 비판적으로 행간의 의미를 읽으려고 하지 않을때 이누엔도가 판을 치지 않을까 싶다. 많은 사람들이 이누엔도에 드러나 있는 단언적 진술을 인식할 수록 이누엔도 수법은 힘을 잃지 않을까?

  7. 이누엔도를 잘 쓰는 한국 신문 - 조선일보
    => 그래서 조선일보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많구나. 중요한 것은 많은 사람들이 조선일보를 비판하기 때문에 무조건 조선일보를 욕할 것이 아니라 조선일보가 이누엔도 수법을 써서 비겁한 방식으로 어떤 얘기를 하는지를 인식하는 게 필요할 것 같다.

  8. 이누엔도를 쓰는 이유 : 사실 확인을 해줄 책임이 없다.
    북한 관련 숱한 이누엔도 캠페인을 통해 언론보도에 무비판적으로 따라가는 "순진한" 독자들에게 "김대중은 빨갱이야"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데 음으로 양으로 큰 공헌을 했다.
    => 이누엔도를 쓰는 이유는 비겁함 때문이구나. 뭔가를 말하려면 용기있게 하고자 하는 바를 말해야 겠다. 이누엔도를 쓰지 말고 명확한 진술문으로 전달하자. 이누엔도를 쓰는 사람, 이누엔도를 사용해서 글을 쓴 경우에는 그 이면에 있는 의미를 읽어내자.

  9. 이누엔도를 쓰려면 최소한 지적 수준이 있어야 한다.

  10. 구문기억(sentence memory)에 관한 실험 : 단순형태의 문장으로 유추해서 해석하고 기억한다. 논리적 함축의미, 실용적 함축의미
    ㄱ. 논리적 함축의미 : A가 길지 않았다는 얘기를 들으면 B가 짧았다고 유추함.
    ㄴ. 실용적 함축의미 : 못을 받았다는 얘기를 들어면 망치를 썼다고 유추함. (실질적으로 못을 박는데는 망치가 사용되니까)
    => 정말 흥미로운 실험이다!

  11. 이누엔도의 두 가지 구성요소...
    ㄱ. 단언적인 진술문 <- 행간의 의미라고 불리는 그 의미? 원래 드러내고자 하는 생각. 대놓고는 말 못하는
    ㄴ. 이 진술문을 간접적인 뉘앙스로 바꿔주는 한정어, 한정구문 <- 진술문을 숨겨주는 역할, 의문문 등..

  12. 이누엔도의 문제 : 의미의 단언적 전달을 제한하는 척 하면서, 애초의도한 의미를 그대로 전달한다는 데 있다.
    => 이런 비겁한 이누엔도를 봤나. 실용적 함축 과정이 중요한 것 같다. 사고능력이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그리고 교육은 사고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이누엔도를 사용하더라도 듣는 이가 행간의 의미를 읽을 수 있다면 이누엔도를 사용했다는 것 자체를 인식할 수 있지 않을까?

영어공부에 대한 생각

 

영어공부에 대해 드는 짧은 생각들을 편하게 적어보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수시로 업데이트 되다가 별도의 포스트로 옮겨질 수 있습니다 ^^

 

1. 영어독해

 

영어독해 위주로 공부해서 말하기가 잘 안된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 그 말을 이렇게 바꿔야 하지 않을까. 

영어독해, 문제집 위주로 공부해서 영어독해 점수는 잘 나와요. (그런데 영어책은 잘 안 읽혀요.)

 

사지선다형 문제에 답하기 위한 목적으로 토막난 글을 읽으면서 대화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무엇에 대해서 아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글을 어디선가 읽었다. 글의 주제와 글쓴이의 입장 등 글에 대해서 묻는 독해문제를 푸는 것보다, 글에서 글쓴이의 목소리를 직접 느끼는 것이 더 중요하다. 

 

2. 영어로 재미있는 글을 읽는 즐거움

요즘 영어독해 관련해서 몇몇 분들께 피드백을 드리고 있다. 나 스스로도 영어독해를 잘해야 할 것 같아서 영어로 된 글이나 책을 읽고 있다. 영어독해실력을 늘리려고 시작한 일이지만 글을 읽는 데에서 즐거움을 느낀다. 몰랐던 것을 알아가는 즐거움을 느낀다.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conflicts라는 책에서는 중동지역 분쟁에 대해서 읽다가 민족(Nation)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읽은 부분이 참 흥미로웠다. 당연히 여겨지는 민족, 민족이라고 칭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아프리카의 경우처럼 종교와 부족, 언어 등이 다양한 곳에서는 무엇을 기준으로 민족이라 칭하고, 그 민족에 기반한 국가를 세워야 하나. 이 질문에 대해 책에는 이렇게 나와 있다. (기억에 대략 의존한 것에 의하면..) 

식민시대가 끝나고, 지역의 식민저항주의자들은 새로운 국가를 건설해야 하는데, 종교나 부족 단위로 국가를 세우자니, 식민시대에 건설되었던 여러가지 것들 - 경찰, 세금, 행정 등 -을 그대로 쓸 수가 없더라. 결국은 식민통치했던 국가들이 마음대로 그었던 그 경계를 살려서 국가를 세우게 되었고 그것이 지속적인 분쟁의 원인을 제공한다. 

 

그동안 영어를 공부한다고만 생각했지, 영어로 내용이 재미있는 글을 읽겠다는 생각을 별로 못했던 것 같다. 영어 문장을 보면 주어와 동사를 찾는 등 해부하는 마음이 앞섰지, 이 글을 쓴 이가 어떤 생각을 나누고 싶은지 공감하고자 하는 노력은 적었던 것 같다. 요즘 트위터에서 흥미로운 글, 또는 책을 소개해주시는 분들이 있어 (예를 들면 @gatorlog, @in_future, @aleph_k 등) 이런 글들을 읽다보면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영어를 열심히 공부했던 과거의 나에게 고마운 마음도 들고, 다른 한편으로는 영어로 재미있는 글을 찾아 읽지 않았던 나에게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3. 공부를 하는데 매순간 둘이 있어야

학교를 벗어나는 나이가 되면 공부는 왠지 혼자서 하는 거라는 생각이 들었고, 영어실력이 아쉬운 분들께 혼자서 하기 좋은 공부는 독해일 거라고 생각했다. 완전히 혼자할 수 있는 공부는 사실 없다고 생각한다. 매순간 적어도 둘은 있어야 한다. 단지 학교에서처럼 한 반에 몇십 명이서, 또는 학원에서처럼 몇 명이서 그룹을 만들지 않더라도 공부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1대 다가 되기 쉬운 그 구성이 나는 별로다. 둘은 나와 내가 될 수도 있고, 나와 남이 될 수도 있다. 나와 글쓴이가 될 수도 있고, 나와 선생님이 될 수도 있다. 공부의 기본적인 속성은 묻고 답하는 대화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건 그 대화가 이루어지는 것 자체라고 생각한다. 서로 강요하지 않고, 서로의 질문과 대답에 마음을 열었을 때에만 대화가 이루어진다. 배우는 이가 영어 문장을 해석하면서 나와 글쓴이의 대화를 하고 나면, 그 해석한 내용을 보고 나는 배운 이와 대화한다. 이렇게 이해하셨군요, 이 부분이 애매하셨군요, 이 부분은 잘 하셨군요. 소리내지 않지만, 소리내고 싶은 부분은 피드백으로 쓴다. 아마도 그 피드백을 읽으면서 배우는 이는 나와 대화한다고 느끼지 않을까?

 

4. 언어를 배우는데 엄마가 중요한 이유

 

언어를 배우는데 엄마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사람의 자아가 언제 생겨나는지, 자신과의 대화를 하기 시작하는 게 언제부터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엄마와 언어적인 또는 비언어적인 대화를 나누는 것은 그 이전이라고 막연히 생각하기 때문이다. 엄마는 대화라는 것을 처음으로 알려주는 존재다. 물론 엄마라고 꼭 여성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다만 갓난아기일 때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사람, 그 사람이 엄마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5. 영어공부 - 개인 피드백을 드리는 이유

 

개발자 영어, My Second Languages 등을 진행하면서 개인 피드백을 드리는 이유가 있다. 물론 내가 배우는 경우는 나도 개인 피드백을 받고 있다. 언어 공부에서 중요한 점 하나는 '인식'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알듯말듯 하던 것을 '아! 이렇게 되는구나!'하고 알게 되는 그 지점. 그 지점이 너무 많아서도 안되고 너무 적어서도 효율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효율이 떨어지면 곧 지루해지고 지루해지면 배움을 멈추는 것으로 이어지곤 한다. 그리고 그 '인식'이라는 지점이 생기려면 배우는 이가 무언가를 궁금해 하는 마음이 필요하고, 그 궁금함에 답해주는 이가 필요하다. 바로 여기에 개인 피드백의 장점이 있다. 배우는 이가 해석을 한 내용을 보면 어떤 부분은 잘 이해했는지, 어떤 부분은 애매하다고 느꼈는지가 드러난다. 그것을 보고, 애매해 보이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해주는 게 개인 피드백의 강점이다. 내가 잘 아는 것을 누가 설명하면 나는 짜증이 치밀어 오른다. 내가 인내심이 없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인간의 본성일 수도 있다. 내가 잘 아는 것을 누가 설명하면 그것은 시간낭비라고도 할 수 있다. 그 시간에 내가 알고 싶은 것에 대한 설명을 읽거나 듣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6. 내가 일본어를 공부하는 이유, 내가 간과했던 피드백의 또다른 역할

 

한 가지는 한국어가 모국어이면 일본어를 배우기 더 수월할 거라는 막연한 생각이다. 한국인들이 유럽어 사용자보다 일본어를 더 빨리 배운다는 얘기도 많이 들었다. 즉 나에게 강점이 있는데, 그것을 활용하지 않는게 아까워서 일본어를 배운다. 물론 배우다보면 이거 만만치 않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겁도 난다. 하지만 어느 시간 안에 어디까지 가야 한다는 당위가 없기 때문에 편하게 한발 한발 가고 있다.

 

또 하나는 외국어를 배우는 입장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다. 최근에 일본어를 잘하시는 분에게서 일본어를 배우고 있다. 방식은 내가 개발자 영어 진행하는 것과 비슷하다. 그 분에게서 피드백을 받고 나는 깜짝 놀랐다. 내가 피드백을 드릴 때에는, 배우는 이가 잘 모르는 부분만을 골라서 피드백을 드렸다. 잘 아시는 부분은 굳이 설명드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넘어갔다. 그게 시간 면에서도 노력 면에서도 효율적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내가 받은 피드백은 약간 달랐다. 내가 맞게 해석한 것에 대해서 "correct!", "맞아!", "정확해", "잘했어", 이런 글들이 있었다. 그것을 보고 나는 참 기분이 좋았다. 어릴 때 숙제를 해갔는데 '참 잘했어요' 도장을 받은 기분도 떠오르고. 물론 몰라서 해석을 잘못한 것에 대한 설명을 읽고 옮겨 적다보면 알게 되는 것이 많다. 그게 내가 중요시했던 피드백의 역할이기도 했다. 그런데 중간중간에 '잘했어!', '정확해!' 라는 문구를 보면 왠지 모를 힘이 났다. 잘한 것을 잘했다고 얘기해주는 긍정적인 피드백의 역할을 내가 간과했던 것 같다. 

 

그래서 이제는 피드백을 드릴 때, 애매하다고 느끼는 부분에만 피드백을 드리지 않고, 정확하게 해석한 부분에 대해서는 '맞아요!', '정확하게 해석하셨어요!' 등의 문구를 쓴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2010년 2월 8일 월요일

2010년 2월의 일기

 

이 포스트는 수시로 업데이트 됩니다 :)

 

 

@ 꼭 한번쯤은 일해보고 싶은 회사

 

요즘 구직활동을 하면서 압박감을 많이 느낀다. 특히 왜 그 일을 하고 싶은지 쓰려고 할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내가 일하고 싶은 일은 따로 있기 때문이다. 단지 그런 일을 여기에서 찾기가 어려울 뿐이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은, 우선은 어른대상 영어 교육이다. 그것도 실효성이 아직 검증 안 된 나만의 방법으로 하는 것이다. 아직은 내가 준비도 덜 되었고 생각도 정리가 덜 되었기 때문에 당장 할 수는 없다. 그 외에도 이런저런, 기회를 만들어서 꼭 한번쯤 해보고 싶은 일들이 있다.

 

우선은 수첩 기획하는 회사.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 종이수첩이 자리잡을 데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다. 나도 컴퓨터와 아이폰을 좋아하고 많이 쓰지만, 수첩을 대신하지는 못한다. 수첩은 정말 빠르고 편리하다. 컴퓨터와 아이폰에서 제공해주는 것이 3D 입체로 되어있지 않는 한 나는 수첩을 계속 쓰지 않을까한다. 모든 이가 수첩을 필요로 하지는 않겠지만, 수첩을 필요로 하는 이는 분명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여러 방식으로 수첩을 써봤는데, 그 중에는 제작을 해보고 싶은 수첩들이 있다. 아직 생각이 완전히 마무리 된 것은 아니지만, 그 미완성된 생각을 적용해서 만든 수첩을 나는 꽤 유용하게 쓰고 있다. 제작이라고 표현해서 거창하지만 손으로 하는 것을 자동화하고 싶다는 의미다. 손으로 일일이 하면 시간도 걸리고 좀 귀찮기도 하니까.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수첩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마음도 있다. 내 생각이 아주 별거는 아니지만, 내가 직접 만들어서 두 분에게 선물했더니, 아주 유용하게 쓰신다고 했다. 그래서 약간의 자신감을 가지기로 했다.

 

두번째는 제본집.

제본집에서 스프링 제본하고, 열제본 하는 거 보면 나는 그게 왜 그리 부러운지 모르겠다. 아마도 수첩을 좋아하다보니까, 수첩을 만드는 과정의 일이 재미있게 보였나 보다. 

나도 직접 종이 커터기로 종이를 잘라보고 구멍 뚫어서 제본도 해보고 싶다. 이것저것 섞어서 수첩도 만들어 보고 책도 만들어 보고 싶다. 

 

그리고 문구점
결국은 다 종이에서 파생된 것인가? 나는 문구점에 있으면 정신을 못차린다. 이런저런 연습장, 공책, 수첩, 메모지, 다이어리, 볼펜, 형광펜, 정리 파일 등등. 그런데 한 번은 모닝글로리 문구점에 갔다가 뜨억했다. 문구점인데 종이류는 별로 안 보이고 온통, 화장품, 머리핀, 악세서리, 목도리, 장갑, 등. 그나마 종이와 관련된 것은 크리스마스 카드정도였다. 이게 무슨 문구점이야, 잡화점이지. 아마도 주고객층이 중,고등학생어서가 아닐까 한다. 그래서 모닝글로리 문구점 말고, 알파문구처럼 사무용품 문구점에서 일해보고 싶다. 온갖 종류의 수첩을 뒤적이면서 온갖 상상을 하면 얼마나 좋을까?

 

 

@ 나와너, 신뢰

 

신뢰가 필요한 이유. 나와 너의 구분이 필요 없어야 한다. 그래야 멀리보는 나와 가까이 보는 나의 대화가 가능하다. 나와 너를 구분하는 것은 '욕망'일까? 만약 그렇다면, 욕망은 어떻게 나와 너를 구분하게 만들까?

 

@ 힌트인 동시에 덫인 '나'

 

힌트.. 뭔가를 증폭시키는 힘 나와 연관된 것은 더 잘 기억한다. 나와 연관된 것은 더 흥미롭다. 내가 만든 작품은 나를 반영하므로 내가 많이 드러나고 나에게는 흥미롭다.

 

덫.. 나와 타자의 거리를 재는데 필요한 지점을 제공함. 욕망에 지배당하는 중심

 

 

@ 청소계획 세우기

 

이 글이 도움이 될 만한 분 : 주의가 산만해서 한 번 청소하면 몇 시간이 걸리거나 또는 청소하다 삼천포로 빠지기 일수거나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막막해서 손을 못대는 분들. 제가 그렇거든요.

 

  • 해야 할 일을 적는다.
  • 아주 단순작업으로 만든다. 작업당 약 10분. - 스스로 분업하기. 예) 먹지 닦기, 거실의 물건을 치우기, 부엌 테이블의 물건을 치우기. 청소기 돌리기. 설겆이 하기. 화분에 물주기 등등.
  • 예정 시간을 쓰고, 실제 시간 쓰는 칸을 만든다.
  • 순서가 필요하면 순서를 적는다. 예) 2. 청소기 돌리기 -> 이걸 하려면 3 먼저해야. (3. 먼지 닦기)
  • 할 일을 적은 종이를 펴서 먼저 하고 싶은 것을 하나 골라본다.
  • 물론 그것을 하려면 다른 것을 먼저 해야 한다면 그것을 먼저 한다.
  • 시작 시간을 적고, 종료 시간을 적는다. 10분 안에 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데 정신을 팔지 않는다. (<-이 부분이 중요함.)
  • 중간에 '아! 이것도 해야 하는데'라는 생각이 들면 계획표에 적어넣는다. (<- 이 부분도 중요함.)
  • 35분 정도 연이어서 한 후에 10분 정도 쉬어준다. 또는 쉬고 싶을때

 

 

@ 지금 시대는 어떤 시대인가?

 

어떤 인물들이 회자되고 있나? 그들은 왜 회자되고 있나? 이 인물들은 무엇을 해 나가고 있나? 어디를 향하고 있나? 이 시대에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시대에 관계 없이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무엇? 어떤 사건들이 회자되고 있나? 이 사건들은 왜 회자되고 있나? 이 사건들은 왜 일어났으며, 사회가 어떻다는 것을 보여주나? 이 시대의 사람들이 어떻다는 것을 보여주나?

 

 

@ 골인 지점에서 나를 기다리는 이가 있다.

 

마라톤, 나는 딱 한번 풀마라톤 대회에 참가했다. 지인과 함께 참여했는데 나는 일찌감치 포기해서 버스를 타고 돌아와서 골인 지점에서 지인을 기다렸다. 하나 둘 49.195Km를 완주한 이들이 감격하며 도착했고, 나도 그들을 보면서 같이 뭉클해 했다. 그 감정이입도 지루해질 무렵 지인이 절뚝거리며 도착했다. 우리는 거의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 닭갈비에 소주를 마셨다. 나중에서야 지인은 이런 얘기를 했다. '골인 지점에서 네가 기다리고 있으니까 끝까지 달려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 기어서라도.'

 

@ 신호와 해석

 

말을 하거나 무언가를 나타내는 행위는 신호. 이 신호를 보내는 이유, 실제로 의미하는 것을 알아내는 것은 해석. 이 해석하는 과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 어떤 신호를 감지했을 때, 그 신호에 대해서 질문을 던져서 해석해내어야 한다.

 

@ 대화의 종류 A와 B

 

A - 무언가를 낳는 대화, B - 무언가를 낳지 않는 대화. 무수히 반복되는 FAQ와 같은 대화

 

대화 B로는 관계가 깊어지지 않는 듯 하다. 대화 B를 계속하는 것은 시간과 에너지의 낭비이며 서로에 대한 공허감만 불러일으키는 것 같다. 대화 B중에는 대화 A로 이어지는 중간단계로서의 역할을 하는 대화도 있는 듯 하다. 대화 A에서 대화의 참여자가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대화 A에서 생겨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 대화 참여자의 관계, 대화 매체, 대화의 종류

 

누구와 누가 어떻게 알게 되어서 어떤 매체를 통해서 무엇에 대해서 어떤 얘기를 하고 무엇을 낳는가? 또는 낳지 못하는가?

 

대화매체 - 만남, 집전화, 휴대전화, 문자메세지, 스카이프 통화, MSN채팅, 미스리, 트위터, 블로그, 카페, 네이버지식인, 등등

대화의 종류 - A, B

관계의 종류 - 자발적으로 찾는 관계, 주어진 관계, 자신이 낳은 관계, 자신을 낳은 관계

 

@ Food rules - 5개보다 적은 재료가 의미하는 것

 

5가지 이하의 재료가 들어간 음식을 먹으라는 법칙. 즉 덜 섞인 음식을 먹으라는 내용. 더 많이 섞일 수록 안 좋은 음식이 된다는 의미? '순도'로 좋고 나쁨을 구분하는 방법.

순수하다는 것은 덜 섞였다는 것. 우리는 왜 순수한 것에 감동받을까? 순수한 것은 본질에 가깝다는 것? 질문이 순수하다는 것은 질문이 본질에 가깝다는 의미? 질문이 순수하지 못하다는 것은 질문에 이런저런 것들이 섞여서 지저분해졌다는 의미?

 

@ The Craft of the Novel, Colin Winson

 

p27.

a major work of literature cannot be produced wholly out of a sense of meaninglessness and hopelessness.

there is no positive pole to counterbalance all this negativity.

external soul, a self-image

p28.

Shaw stated the role of the self-image in all art.

Art is the magic mirror you make to reflect invisible dreams in visible pictures.

You use works of art to see your soul

You can create nothing but yourself.

The first questions to be answered is not so much 'Who am I?' as 'Whom I wish to become?'

What identity could he choose?

 

@ 그곳에서 여행하면서 느낀 점

 

택시 10분 타고 가는데 20유로라고 했다. 너무 비싸서 그냥 8시간을 버리기로 했다. 택시기사는 얼마를 벌까. 한달에 많이 벌어야 200불 벌텐데... 누군가는 거기서 폭리를 취하지 않고서야 이 가격일 수가 없었다. 이 나라는 왜 존재하는 것일까? 나라가 존재하는 데 이유가 필요하지 않지만 결과적으로 그 나라가 존재하는 이유는 값싼 노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나도, 만약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독립하지 않았다면, 그곳 사람들과 비슷한 존재의미를 갖게 되지 않았을까? 그런 존재의미 따위는 느끼고 싶지 않다. 그런 것을 느낄 필요가 없게 해준 독립운동가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 누군가 그런 얘기를 했다. 그곳 사람들에게도 일자리가 필요한데, 일자리를 주는 것에 감사해야 한다고. 불끈 화가 났다. 이성적으로 따다다 근거를 댈 수는 없지만 공정한 거래와 착취는 분명히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다.

 

@ 할일 관리, TEMP폴더

 

매일매일 할 일을 기록하는 종이로 된 포맷이 있다. 오빠에게 알려줬더니 괜찮다고 적용해 본다고 한다. 이 포맷을 만든 이유는, 컴퓨터로 일정관리가 안되서이다.. 난 종이에 쓰는 게 좋다. 돈과 마찬가지로 시간도 예산과 실제 지출한 것을 기록하면 더 관리가 잘 되는 것 같다. 내 TEMP폴더와 결합시켜놓으니 참 강력한 것 같다.

 

@ 스프링노트, 구글문서, 구글 사이트도구

 

스프링 노트 - 예전에 가입해놓고 안 썼던 것 같은데, 다시 보니까 괜찮은 것 같다. 그 동안 바뀌었나? 구글 노트를 쓰다가 잘 활용을 못했는데.. drchoi님 블로그에 보니 구글 노트 서비스 중지한단다. 흠. 역시. 구글 사이트도구도 서비스 중지한다는 거 아닌지 불안하다. 중지하면 안되는데.. 물론 중지한다고 해도 이해도 될 것 같다. 아주 대중적으로 잘 쓰이기는 어려운 것 같아서.예쁘게 만들기도 어렵고. 그래도 구글에 대한 믿음이 있다면, 잘 활용 안된다고 그냥 없애는 게 아니라, 그 서비스는 없애되, 원래 그 서비스를 만들었던 이유를 잘 구현해주는 다른 서비스를 내보이지 않을까라는..

 

스프링 노트를 쓰면서 드는 느낌은, 구글 사이트와 구글 노트의 기능을 결합한 느낌? 구글 문서와 비교해서 좋은 점은, '돋움'체가 기본인 것. 구글 문서에 '돋움'체가 있으면 참 좋겠다. 나는 '목차' 기능을 참 좋아한다. 구글 DOC에서처럼 스프링노트에서도 단락 설정을 단축키로 할 수 있으면 참 좋겠다. 구글 Doc에서 Ctrl+1로 제목1 지정하는 것처럼. 그런데 스프링노트에서는 목차설정이 뭔가 매끄럽지가 못하다. 그래서 목차 기능은 안 쓰는게 낫겠다. 이 점은 구글 문서나 구글 사이트가 훨씬 더 마음에 든다.

 

@ 스프링노트, 개발자 영어 홈페이지, 질문홈페이지

 

스프링 노트를 활용해서 개발자 영어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구상해보아야 겠다. 스프링노트를 활용해서 질문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구상해보아야 겠다.

 

@ 구직중, 재보험업

 

지금은 구직중이다. 지원한 회사 중에 재보험업 회사가 있다. 재보험업이 뭘로 돈을 버는 곳인지는 알아야 할 것 같아서 질문을 쭉 써보았다. 이 질문을 염두에 두고 연간 보고서를 읽어보면 대략 파악이 되지 않을까

 

@ 성사된 취업을 포기한 경위

 

고용계약서의 일부 내용이 적합하지 않은 것 같아서, 조금 변경하자고 했더니 못 바꾼단다. 작은 회사라서 유연할 줄 알았는데... 어쨌든, 계약 자체가 중요하다기 보다는 계약에 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방식으로 계약에 사인하면 일할 때도 계속 일방적으로 따라야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일하면 열심히 일하기 어려울 것 같았다. 그래서 재고해보겠다고 했고, 회사는 못 기다리겠다고 했다. 회사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했다. 안녕!

 

@ My Second Languages 참여자로부터 피드백

 


공부가 되는 느낌이 팍팍 듬...

역시 1:1 티칭이 최고야...

100% 이해된 건 아니지만, 한 90%이상은 이해됨...

피드백 할때가 좀 뿌듯한거 같애.


피드백을 작성할 때에는 나름대로 이렇게 설명하면 이해가 되지 않을까라는 마음으로 하지만, 막상 보내고 나서는 실제로 어떤게 피드백이 읽혀지는지 알 길이 없다. 그래서 막연히 읽었으려니.. 하고 생각할 뿐이었다. 그런데 메일을 보니 정말 기쁘고, 피드백을 하는 데 보람을 느꼈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소망과 강요


미래에 어떤 모습, 어떤 상태이고 싶다는 마음은
오늘의 나에게 희망을 주고 방향을 알려줍니다.
이 마음을 나는 소망이라고 부릅니다.

현재 어떤 모습, 어떤 상태이고 싶다는 마음은
오늘의 나를 부정하고 실패자라고 규정합니다.
이 마음을 나는 강요라고 부릅니다.

오랜 시간을 한꺼번에 바라보는 내가
지금 이순간에 존재하는 나를 부정하는 것
'내가 나에게 강요한다'라고 부릅니다.

나에게 강요하는 이는
다른 이에게 강요합니다.

하나의 관계에서 한 사람이 강요하기 시작하면
거기에는 강요 없는 관계가 생겨나지 않습니다.

하나의 관계에서 한 사람도 강요하지 않으면
거기에는 강요 없는 관계가 생겨납니다.

블로그에 일기 쓰기


개인 홈페이지가 유행했을때 게시판에 공개할 수 있는 일기를 쓰고는 했는데 그것을 한지도 참 오래되었다.

요즘은 왠지 일기가 다시 쓰고 싶어졌다.
그래서 '일기'라는 카테고리를 만들었다.

보이고 싶은 마음과
감추고 싶은 마음사이에서
오늘도 왔다갔다 한다.

그래도 30대를 맞으면서 정리된 게 있다면
누구에게 보이고 싶은지 알게 되었다는 것
멀리보는 나와 지금 이 순간의 나와의 만남

2010년 2월 4일 목요일

한복, 프라임이론, 담론 그리고 지식인의 감시


이 글을 쓴 계기


윗 글을 우연히 읽게 되었는데요, 이런 저런 생각이 들어서 블로그에 올려 봅니다.


영어학습에서의 프라임 이론

영어 학습에서의 '프라임 이론'이라는 게 있는데요, 모국어에서 어떤 표현을 자주 듣다 보면 그것이 맞다고 생각하고, 그것과 다른 것을 봤을 때 이것은 틀렸다라고 판단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모국어의 경우 체계적으로 문법이라든지 어휘를 공부하지 않더라도, 문법적으로, 또는 어휘적으로 어색한 표현을 보면 이상하다라고 판단할 수 있다고 해요. (어디서 봤는지를 알려드려야 하는데, 그게 좀;; 기억이.. 죄송합니다. 이 이론을 말씀하신 분은 Hoey라는 교수님이었고, 이 이론을 소개한 글은 어떤 English Teaching Journal 그런 잡지였습니다.)

이 '프라임 이론'을 소개한 글에서는 이런 예를 들었어요.

- In winter
- Through winter

이 두가지 표현을 보면 영어 모국어 사용자는 in winter가 맞고 through winter는 틀리다고 생각하는데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모국어 사용자는 모국어를 접할때, '겨울에'라는 의미를 가지는 상황에서 "in winter"라는 표현을 계속 접했다는 거에요. 듣고 읽고 등등. 그렇게 접하는 과정에서 'in winter'가 언어 사용자와 프라임(primed) 되었어요. 그래서 '겨울에'를 의미하는 표현에서 through가 나오면, 고개를 갸웃거리게 되는거에요. 외국어를 배우는 사람처럼 겨울에는 'in'이라는 전치사를 써야해요 라고 배운 것도 아닌데 말이죠.

왜 그럴까? 원래부터 그랬던 걸까?

포스팅하신 글에서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자 그럼 여기서 왜? 왜 그럴까? 원래부터 그랬던 걸까?

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우리 동양문화가 서양과의 문화전쟁에서 졌다는 겁니다.

이건 서양의 이른 산업혁명으로 식민지를 거느릴 전쟁을 하기 위한 힘을 얻은 이유가 컸고

그 결과

우리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서구적인 형상의 바비인형 이라든지, 그런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그런 만화영화나 어린이물을 보고 자랍니다.


'문화 전쟁에서 동양 문화가 졌다'는 표현이 기억에 남는데요. 전쟁에서 이긴 서양 문화가 계속 한국의 개인에게 '프라임'되는 상황이 많아졌고, 그 결과로 한국의 개인은, 마치 더 많이 프라임된 '서양 ㅇㅇ'가 맞다는 기준을 가지게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글에 쓰신 부분, 우리 아이들이 바비인형을 가지고 노는 등의 예로 드신게, 문화적인 프라임 과정이 수없이 반복되는 과정을 나타내시는 것처럼 저는 이해했어요.
 
이 프라임이라는 것을 생각하다보니, 최근에 개념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던 담론(담론05. 푸코의 담론이론, JSA, 지식노동의 목표)에 대한 생각도 납니다. 담론은 힘을 가지고, 그 힘은 그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기존 담론을 지지하는 또 다른 담론을 끊임없이 재생산한다고 하는데요.

문화 전쟁에서 이긴 서양 문화라는 것이 하나의 큰 담론이라면, 이 담론의 힘을 가지고, 재생산하는 담론은 수없이 반복되는 문화적인 프라임과정과도 비슷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위에 담론에 대해서 쓴 글에서 나름대로 결론내린 것에 의하면, 중요한 것은 서양 문화가 그 헤게모니적인 힘을 가지고 개인을 '억압 또는 착취'하는지, 아니면 개인에게 필요한 것을 '정당'하게 제공하고, 그에 대해 치르는 댓가가 적정한지에 대한 감시, 즉 지식인의 지식노동이 필요하지 않나 합니다.

지금 '지식인'이 누구를 가리키는 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일을 한다면 '지식인'이라고 불러도 되지 않을까요?

2010년 2월 3일 수요일

담론05. 푸코의 담론이론, JSA, 지식노동의 목표

이 글을 쓰게 된 계기

담론01 ~ 04까지 '담론'이 뭔지, 그 개념에 대해서 찾아보고 생각해보았습니다.

담론02에서 tzara님이 댓글로 글을 하나 추천해주셨어요.


내용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 질문을 던지면서 읽고 이 글에 나온 내용을 간단하게 그림으로 표시하고 코멘트를 달아 보았습니다. 역시 손으로 그리니까 편하네요.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지적 부탁드릴게요. 수정은 어려울 수도 있지만요 ^^


제도, 담론의 주체, 담론, 권력, 지배당하는이

  • 푸코가 의미하는 담론은 ... 전문 지식을 (재)생산하는 제도 영역에서 쓰이는 전문적 언어 양식..
  • .. 담론은 담론 주체에 의해 활용되면서 힘을 발휘한다..
  • 담론 주체란 각 제도 영역에서 담론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자격을 소유한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적 지위..
  • 병원이란 제도와 의사의 경우... 의사가 의학적 처방을 내리면 일반인들은 그의 말을 따르게 된다. .. 의학 담론 메커니즘에서의 주체 기능 자격 때문에 그의 말을 따른다..

'억압' 또는 '정당한 거래'

병원이라는 제도내에서 의학 담론이 있기 때문에 의사는 환자에게 배를 째게 만드는 권력을 가지는데요. 의사와 환자와의 관계를 생각해보았습니다. 이 관계는 '억압'도 될 수 있고 '정당한 거래'도 될 수 있지 않나 합니다. 의사들이 뭉쳐서 환자들을 골려먹자라고 담합같은 것을 하면 이 관계는 '억압'이 될 것이고, 의사들이 건전하게 서로 경쟁해서 환자들에게 적정한 가격에 적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이 관계는 '정당한 거래'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담론과 권력 - 묻지마! 이제 궁금하지도 않지?
  • 담론은 권력을 만들어내고, 권력은 다시 담론을 재생산함으로 권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담론과 권력이 연대하게 되는 것이다...
  • 담론 자체가 아주 당연시 되어 의문을 제기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이 권력이 하는 일이다.

하나의 영역만을 놓고 보면 먼저 생기는건 담론같지만, 담론은 권력을 가지게 되고 그 권력이 기존 담론을 지지하는 담론을 생산해 낸다고 이해했는데요. 결과적으로 담론도 계속 많아지고, 권력도 계속 커지게 되는 거겠지요? 이 과정이 머릿속에 잘 그려지지가 않고, 추상적으로만 들리네요. 담론과 권력이 서로를 키우는 과정을 잘 나타내주는 예가 있으면 좋겠어요.

처음 생겨난 담론, 권력이 키워주기 전의 담론과 큰 후의 담론은 차이가 클 텐데요, 커진 담론은 무서운 존재 같습니다. 당연시 여긴다는 것보다 강력한게 또 있을까요? 별도로 시키지 않고도, 정당한 값을 지불하지 않고도 많은 일을 하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는 거니까요.

담론을 무너뜨리는 세력

  • 담론이 경우에 따라서 억압적 도구로써.. 저항적 도구로써..
  • 헤게모니 세력의 담론적 힘이 작용하는 곳에는 언제든지 그 힘에 대항할 수 있난 반헤게모니 세력의 담론적 힘('대항 담론') 또한 가능하다는 푸코의 권력 이론의 요점..
  • 전문지식이 보편화되면 권력이 해체된다... (예: 종교개혁)

벌써 그림에서 이상한 부분이 눈에 보이네요. 본문에서는 전문 지식이 보편화 되면 권력이 해체된다고 했고 그 예로 성서가 번역되면서, 라틴어를 공부한 계층이 독점하던 성서지식이 보편화되고 그 결과 카톨릭의 권력이 해체되었다고 나왔는데요. 윗 그림에서는 마치 헤게모니와 반헤게모니세력이 충돌했는데, 반헤게모니가 이겨서 그렇게 된 것처럼 그렸어요. 성서를 번역한 그룹이 반헤게모니 그룹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성서지식을 특정 계층이 독점하는 게 부당하다고 생각했던 그룹이지 않았을까요?

 여기에 지식 노동의 의의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권력이 어떻게 담론을 만들어내는가를 감시하고 그 담론을 어떻게 밝혀내고 공개하고 해체하느냐에 권력의 반대편에 서 있는 지식인의 노동인 것이다. 지식 노동을 통해 밝혀지는 담론과 권력과의 연관성을 까발리는 것이 최대의 목표가 아닌가 한다. 그래서 담론과 권력의 얼개 속에 갇혀 있는 우리의 삶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지식 노동의 책임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글에서 얘기하는 중요한 내용같습니다. 지식 노동의 의의는 주류 담론을 해체하는 것, 그리고 권력을 해체하는 것. 담론과 권력의 얼개 속에 갇혀 있는 우리의 삶을 자유롭게 하는 것. 이렇게 한 예로 영화 JSA를 들었고요.

그럼 의사의 권력을 해체해야 할까?

고개가 끄덕여지면서도 한편으로는 이런 의문이 들었습니다. 권력이란 것은 무조건 해체의 대상인지, 권력은 무조건 일반인을 억압할 수 밖에 없는 것인지. 만약에 그렇다면, 이 저항담론도 헤게모니가 되면 일반인을 억압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것인지.

'권력'이라는 말을 들으면 부정적인 느낌, 찝찝한 느낌이 드는데요, 연상되는 표현만 해도, '권력을 거머쥐었다', '권력욕에 불타서', '권력, 한번 맛을 보면 ..', 등등 상쾌한 느낌 보다는 음침하고 칙칙한 표현이 먼저 떠오릅니다.

전문적인 제도의 영역에서 '담론'이란게 생기는 거라면, 담론 자체가 안 생기게 하기는 어려운 것 같고요, 전문영역이 필요하기는 하니까요. 그런데 푸코의 말에 따르면 담론은 힘을 가지게 되니까, 힘 자체가 안 생기게 하는 것도 어려운 것 같아요. 이 '힘'이라는 것에 음침한 느낌이 떠오른 다는 것도 제가 어떤 '담론'에 지배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힘'이라는 것 자체는 중립적인 것일텐데요. 그냥 생겨나는 거니까요.

문제가 되는 것은 그 '힘'을 가지고 '억압'을 하느냐 '정당한 거래'를 하느냐가 아닌가 합니다. 처음에는 글을 읽고서 '지식 노동의 의의는 기존 담론을 해체하는 대에 있나?'라는 의문이 들었어요. 그럼 기존 담론이라고 할 수 있는 의사의 권력을 해체하면 누구에게 의학적인 조언을 구해야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런데 조금 더 생각을 해보니까, 지식 노동의 의의는 주류 담론이 가지게 된 권력을 가지고 '억압'을 하는지 '정당한 거래'를 하는지 감시하는 것이 아닌가, '억압'을 하는 거라면 그게 부당하다는 지적을 하고 '정당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아닌가하고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스위스 생활에 대한 답변 모음


질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답변 나갑니다~

>> 스위스 생활에 대해 질문하기


Q1. 스위스는 대중교통 이용할 때 교통카드를 찍나요? 안 찍나요?


=> 안 찍어요. 교통카드를 미리 사서 소지하고 그냥 타고 내립니다. 버스나 트램 탈 때마다 지갑에서 교통카드를 꺼내지 않아도 되서 편리해요. 가끔 검사하는 사람들이 트램에 타서 승객들에게 교통카드나 표를 검사합니다. 이 때 안 가지고 있으면 8만원 정도 벌금을 내는 걸로 알고 있어요. 한번 타는 경우에는 정류소에서 표를 사서 역시 보유만 하고요. 10번 타는 버스표를 산 경우에는 버스 안에서 스스로 찍습니다.


Q1-1. 안찍고, 보유하고만 있으면 된다는 건 종량제가 아니라 정액(기간)제(?)로 버스카드를 구입하나요?

=> 네! 맞아요.

제 경우에는 1년 짜리 교통카드를 구입했어요. 제가 사는 취리히에는 몇 개의 Zone이 있는데요, 자신의 동선을 고려해서 어느 Zone을 카드에 포함시킬 건지 골라서 구입합니다.


제 경우에는 2009.12 ~ 2010.12 1년치, Zone 10을 다닐 수 있는 교통카드를 구입했어요. 가격은 약 700스위스프랑(약 7십만원)이고요. 다닐 수 있는 Zone이 많아지면 가격이 더 올라가겠지요? 이 카드가 있으면 해당 Zone에서는 트램, 버스, 통근열차 등 상관없이 다 탈 수 있어요. 환승한다고 카드를 찍거나 하는 번거로움이 없지요. ^^

이 비싼(!) 카드를 잃어버리면, 정말 속상하겠지요?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카드 재발급용 영수증을 주는데요, 이 영수증으로 카드를 재발급 받을 수 있답니다. 카드 분실시를 대비해서 카드와 별도로 보관하라고 주의 문구도 나와있어요.



Q1-2. 열번 타는 버스표를 산 경우에 스스로 찍는다는 건, 10번을 채우면 찍고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인가요?

=> 네! 맞아요. 열 번 타는 버스표는 10번 찍으면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요. 저는 산 적은 없고 한 번 보기만 했는데요, 지하철 토큰처럼 좀 딱딱하고 조그만 종이였어요. 한국의 지하철 만원짜리 정액권과 비슷한 개념인 것 같아요. 버스에 타서 기계에 집어넣으면 탄 날짜와 시간이 적혀요. 10번 찍히면 다 쓴거라는 거죠. 만약 그 버스표를 보유했는데, 날짜를 찍지 않으면, 수시로 검사하는 검사관은 무임승차로 간주하겠지요?

영화를 소개해 드려요~

독일의 트램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재미있는 영화입니다. 9분 짜리인데 많은 것을 담았어요. 볼 때마다 웃음이 킥킥나는 영화입니다.



그외 생각나는 것들..

  • 스위스에서 인상적인 것은 트램이나 버스 시간이 1분도 늦지 않는다는 것.
  • 버스 안의 모든 위치에서 하차벨을 누를 수 있다는 것
  • 홈페이지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하면 가는 경로 및 소요시간 등을 정확하게 (도보 이동시간 포함해서) 확인할 수 있다는 것
  • 등등
Q2. 스위스 젊은 친구들의 연애장소와 연애방식(?)이 궁금합니다.

=> 두 개로 나누어서 답변드려볼게요 ^^
Q2-1. 스위스에서 만남이 이루어지는 방식

제가 아는 경우를 말씀드려볼게요.
  • 경우1 : 만 29세이고요, 10년 쯤 전에 친구가 집에서 연 파티(적절한 표현을 못 찾겠어요. 그냥 모여서 집에서 먹고 마시는 껀수 정도로..)에 갔다가 같은 반 친구가 데려온 여동생을 만나게 되었고요, 사귀게 되었다고 합니다. 쭉 연애를 하다가, 지금은 같이 살고 있어요. 스위스에서는 동거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답니다. 결혼 하면 하는 거고, 안하면 안하고 같이 살려나보다하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 경우2 : 만 29세인데요, 음악을 좋아하고, 약 4-5년 쯤 전에 음악에 대해 얘기하는 인터넷 모임에서 지금 여자친구를 만났어요. 그런데 여자친구가 이웃나라에 있어서 지금은 서로 왔다갔다 하면서 만나고 있고요.
  • 경우3 : 만 29세인데요, 현재 솔로인 상태에요 :)

어떻다고 말씀드리기에는 아는 경우가 너무 적네요.단지 주워들은 바에 의하면...
  • 친구가 파티를 열면 거기에 자기도 하고 친구들도 데리고 가는 데요, 거기서 만남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 인터넷의 커뮤니티를 통해서도 만남이 이루어지는 듯 하고요.
  • 그렇지만 소개팅 문화는 없습니다. 소개시켜주고 싶은 친구가 있으면 그 친구가 오거나 주최하는 파티에 데려가겠지요. 자연스럽게 서로 알게될 수 있도록이요.
  • 그 외에도 클럽 등에서도 만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부킹 문화는 없다고 들었어요.
  • 외국 여행을 가거나 일하러 가거나 공부하러 갔다가 만나는 경우도 있어요.
연애, 즉 사귀는 동안에 이루어지는 것들을 보면..
  • 데이트 비용은 각자 부담하는 분위기인것 같아요.
Q2-2. 스위스의 연애장소

미성년이라는 신분을 벗으면 부모님 집에서 나갈 수가 있는데요, 동거문화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사귀다가 마음이 잘 맞는다 싶으면 그리고 아르바이트 등으로 주거 비용이 해결되면 같이 삽니다. 그래서 연애할 때 둘 만의 공간을 찾아다닐 필요는 없어요.

그래서 스위스의 연애 장소란 한국의 연애 장소와는 약간 다르지 않을까 합니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한국의 '아이'가 아직 없는 부부의 데이트 패턴과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둘 만의 공간은 있지만 '데이트'한다는 기분을 낼때는 어딘가를 가잖아요. 먹으러 가거나 보러 가거나 등등.. 한편 스위스는 레스토랑, 술집등의 물가가 많이 비싸서 젊은이들, 학생들, 즉 아직 본격적으로 100% 월급을 받지 않는 상태인 경우에는 많은 것들을 직접 해결합니다. 그래서 집에 모여서 술 마시거나 음식을 해먹거나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연인이 데이트 하는 건, 자전거를 타고 어디를 가거나, 스키를 타러 간다거나, 영화를 보러 가거나, 특별한 날에는 외식을 하는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외국으로 여행을 같이 가는 경우도 있고요. 스위스에 여행 오신 분들은 느꼈을지 모르겠지만, 스위스의 식당, 카페 등에는 나이든 층, 50-60대인 듯한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시간도 많고 금전적으로도 여유 있는 층이죠. 한번은 스위스 분이 저에게 물었습니다. 한국에는 거리에 노인들이 많이 안 보이더라. 노인들이 많이 안 계신거냐. 저는 한국의 카페를 떠올리며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경제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도 많을 것 같고, 할머니 할아버지가 스타벅스 같은 카페에 있는 광경이 상상이 안되더라고요. 여러가지 무언의 압박, 사정들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할머니가 되더라도 카페에 가고 싶은데 말이죠. ㅎㅎ 반면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젊은 층은 잘 안 보여요죠. 그리고 자기 공간이 없는 틴에이져들이 맥도날드나 공원 등에서 뭉쳐 다니는 광경을 많이 봅니다. 틴에이저들은 거리에서 키스도 하지만, 동거를 할 수 있는 2-30십대는 아주 로맨틱한 상황이 아니면 애정표현을 자주는 안 하는 것 같아요.

스위스 생활에 대한 궁금한 점 있으신가요?


저는 스위스에 살고 있는 1人 입니다.

스위스 생활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신 분은 부담없이 질문을 남겨주세요.
제가 말씀드리기 곤란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답을 블로그에 드리겠습니다.

>> 다른 질문과 답변보기


2010년 2월 2일 화요일

NZZ기사 - 외국인 대학생들 - 스위스대학으로 러쉬


식탁용 책상

제가 공부하는 책상입니다. 거실에 식탁을 놓고 공부용과 식사용을 겸하고 있어요.
흠. 저렇게 늘어놓지 않으면 공부가 안되는 걸 어떻게 하겠어요.


독일어로 신문을 읽자!
항상 마음막 먹고 조금 하다가 말고는 하지만 그래도 다시 한 번 마음을 먹었습니다.
매일 읽는 것은 엄두가 안나고, 일요일마다 오는 NZZ am Sonntag에서 기사 하나를 골라서 천천히 읽기로 했습니다.

NZZ am Sonntag
NZZ는 Neuer Zuercher Zeitung이라고, 스위스의 뉴욕 타임즈라고 할 수 있는데요 -직역하면 New Zurich Times - 독일어권에서는 꽤나 인정을 받는 신문이라고 합니다. NZZ am Sonntag은 그 신문사에서 일요일마다 나오는 신문이고요.

외국인 학생들 - 스위스 대학에서 많이 공부한다...

기사 중에서 이런 내용이 있길래 내용이 궁금해서 골라 보았습니다. 두툼한 신문 뭉치의 제일 앞에서 잠깐 이 내용이 언급되고, 안에 'Background'코너에 긴 내용이 또 나오네요. 우선 잠깐 언급된 부분을 읽어 보기로 했어요. 문단 앞에 번호를 표시해 보았고요. 노트에 적을 때 사용하기 위해서요.


인증샷~!

공부했다는 인증샷입니다. 대략 한글로 이해한 내용을 쓰고, 모르는 표현은 표시하고 우측에 'V(voca)'라고 표시합니다. 개념을 모르는 경우에는 우측에 '개념'이라고 표시하고요. 궁금한 점은 우측에 'Q'라고 표시했어요. 문장의 구조가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써서 분해해보기도 하고요.


사전에서 찾아보기

이렇게 본문을 쭉 읽고 나서, V만 골라서 사전에서 찾아봅니다. V를 체크할 때, 단어의 뜻을 유추할 수 있으면 그 뜻을 밑에 적어두었어요. 사전에서 찾을 때는 유추한 단어와 비슷한 내용이 있으면 '아싸~!'하고 외치면서 유추한 게 맞다고 동그라미를 치고요. 독일어 공부의 장기적인 목표를 고려해서 '독독사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좀 모르면 모른데로 버텨 보려구요.



한글로 대략 정리한 내용..

직역은 아니고, 내용을 이해한 것 위주로 한글로 써 보았습니다.

1. 외국인 대학생이 스위스 대학을 많이 이용한다.

2. 스위스의 대학으로 외국인이 많이 공부하러 오며, 이는 대학칸톤에 1억 프랑(약 천억원)이라는 비용을 증가시킨다. 1997년 이후 외국인 학생의 수는 약 12000명에서 30500명로 증가했다. 통계청에서는 이 수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고, 10년 후에는 대학생중 네 명에 한 명 꼴은 외국인이 될 거라고 전망했다.

3. 스위스 대학을 선호하는 이유는 주변 국가의 공급 부족이다. 무엇보다도 독일. NZZ am Sonntag이 현재 수치를 가지고 계산한 것에 따르면 외국인 학생이 초래하는 교육비용은 연간 560백만 프랑에 달한다. (약 5천6백억원)

4. 대학들의 대표는 외국인 학생들이 스위스인과 똑같이 저렴한 학비를 낸다는 것에 대해 비판한다. 한편 다른 나라에서는 외국인 학생들의 학비가 다르다. 쌍갈렌 대학교의 Prorektor인 토마스 비거는 이렇게 말했다. "교육도 서비스라는 관점에서, 교육은 일종의 수출품이라고 볼 수 있으며, 외국에는 적절한 가격에 제공해야 한다. (즉 외국인 대상으로는 학비를 올리자는 주장 같다.)

추.
예를 들어 스위스 취리히 대학의 1년 학비는 약 120만원 정도..


소리내어 읽어보기

독해 공부를 하더라도 '소리'를 관여시키면 더욱 공부 효과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어느 정도 본문을 이해한 후, 소리내어 읽어 보았습니다. 버벅거려서 두 번 더 읽었고요. 버벅거리는 부분은 따로 모아보았어요.


  1. prognostiziert eine Weitere Zunahme
  2. die tiefen Studeingebuehren
  3. Bildung sollte fuer einen Diestleistungsstandort
  4. Gut sollte man zu einem adaequaten Preis

궁금한 점..

  • 천억 비용이 드는 건 뭐고, 5천억 드는 건 각각 뭐를 의미하는지?
  • Hochschule하면 아카데믹한 대학교만 의미하는지, 전문대학, 직업교육기관 등도 의미하는지?
  • 독일의 대학이 안 좋은가? 아니면 학생 수에 비해 수가 부족하다는 의미인가? 독일도 학비는 저렴한 편이라고 알고 있는데..
  • Universitaetskantone의 개념은?

생각해보기

  • 대학교 학비는 외국인과 내국인이 똑같이 적용되어야 하는가?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왜 그러해야 하는가?